관리 메뉴

정리왕

파이썬 리스트 5 (리스트 내장함수) 본문

6.개발/파이썬 공부하기

파이썬 리스트 5 (리스트 내장함수)

정리합니다 2020. 11. 29. 12:05
반응형

 

문자열과 마찬가지로 리스트 변수 이름 뒤에 ' , ' 를 붙여서 여러 가지 리스트 관련 함수를 사용 할 수 있다.

유용하게 사용되는 리스트 관련 함수 몇 가지에 대해서만 알아보기로 하자.

 

 

 

1. 리스트에 요소 추가 (append)

 

append를 사전에 검색해 보면 '덧붙이다, 첨부하다'라는 뜻이 있다.

이 뜻을 안다면 다음 예가 바로 이해 될 것이다.

 

 

append(x)는 리스트의 맨 마지막에 x를 추가하는 함수이다.

 

 

리스트 안에는 어떤 자료형도 추가할 수 있다.

 

 

 

다음 예는 리스트에 다시 리스트를 추가한 결과이다.

리스트의 맨마지막에 [5,6]을 추가하였다.

 

 

2. 리스트 정렬 (sort)

sort 함수는 리스트의 요소를 순서대로 정렬해 준다.

 

>>> a = [1, 4, 3, 2]
		   
>>> a.sort()
		   
>>> a
		   
[1, 2, 3, 4]

 

 

 

문자 역시 알파벳 순서대로 정렬할 수 있다.

>>> a = ['a', 'c', 'b']
		   
>>> a.sort()
		   
>>> a
		   
['a', 'b', 'c']

 

 

3. 리스트 뒤집기 (reverse)

 

reverse 함수는 리스트를 역순으로 뒤집어 준다.

이 때 리스트 요소들을 순서대로 정렬한 다음 다시 역순으로 정렬하는 것이 아니라

그저 현재의 리스트를 그대로 거꾸로 뒤집는다.

 

>>> a = ['a', 'c', 'b']
		   
>>> a.reverse()
		   
>>> a
		   
['b', 'c', 'a']

 

 

 

4. 위치 반환 (index)

index(x) 함수는 리스트에 x값이 있으면 x의 위치 값을 돌려준다.

 

>>> a = [1, 2, 3]
		   
>>> a.index(3)
		   
2
>>> a.index(1)
		   
0

 

위 예에서 리스트 a에 있는 숫자 3의 위치는 a[2]이므로 2를 돌려주고,

숫자 1의 위치는 a[0]이므로 0을 돌려준다.

 

다음 예에서 값 0은 a 리스트에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값 오류(Value Error)가 발생한다.

 

 

 

5. 리스트에 요소 삽입 (insert)

insert(a, b)는 리스트의 a번째 위치에 b를 삽입하는 함수이다.

파이썬에서는 숫자를 0부터 센다는 것을 반드시 기억하자.

 

->  a[0] 위치에 4를 넣어라.

>>> a = [1, 2, 3]
		   
>>> a.insert(0, 4)
		   
>>> a
		   
[4, 1, 2, 3]

 

 

위 예는 0번째 자리, 즉 첫 번째 요소(a[0]) 위치에 값 4를 삽입하라는 뜻이다.

 

 

-> a[3] 위치에 5 를 넣어라.

>>> a.insert(3,5)
		   
>>> a
		   
[4, 1, 2, 5, 3]

위 예는 리스트 a의 a[3], 즉 네 번째 요소 위치에 값 5를 삽입하라는 의미이다.

 

 

 

 

6. 리스트 요소 제거(remove)

 

remove(x)는 리스트에서 첫 번째로는 나오는 x를 삭제하는 함수이다.

 

 
>>> a = [1, 2, 3, 1, 2, 3]
		   
>>> a.remove(3)
		   
>>> a
		   
[1, 2, 1, 2, 3]

a가 3이라는 값을 2개 가지고 있을 경우 첫 번째 3만 제거되는 것을 알 수 있다.

 

 

 

 
>>> a.remove(3)
		   
>>> a
		   
[1, 2, 1, 2]

remove(3)을 한 번 더 실행하면 다시 3이 삭제된다.

 

 

 

7. 리스트 요소 끄집어내기 (pop)

pop()은 리스트의 맨 마지막 요소를 돌려주고 그 요소는 삭제한다.

 

 
>>> a = [1, 2, 3]
		   
>>> a.pop()
		   
3
>>> a
		   
[1, 2]

a 리스트 [1, 2, 3] 에서 3을 끄집어내고 최종적으로 [1, 2] 만 남는 것을 볼 수 있다.

 

 

 

pop(x)는 리스트의 x번째 요소를 돌려주고 그 요소는 삭제한다.

 
>>> a = [1, 2, 3]
		   
>>> a.pop(1)
		   
2
>>> a
		   
[1, 3]

a.pop(1)은 a[1]의 값을 끄집어낸다. 다시 a를 출력해 보면 끄집어낸 값이 삭제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8. 리스트에 포함된 요소 x의 개수 세기 (count)

count(x)는 리스트 안에 x가 몇 개 있는지 조사하여 그 개수를 돌려주는 함수이다.

 
>>> a = [1, 2, 3, 1]
		   
>>> a.count(1)
		   
2

 

1이라는 값이 리스트 a에 2개 들어 있으므로 2를 돌려준다.

 

 

 

 

 

9. 리스트 확장 (extend)

extend(x)에서 x에는 리스트만 올 수 있으며 원래의 a리스트에 x리스트를 더하게 된다.

 
>>> a = [1, 2, 3]
		   
>>> a.extend([4,5])
		   
>>> a
		   
[1, 2, 3, 4, 5]
>>> b = [6,7]
		   
>>> a.extend(b)
		   
>>> a
		   
[1, 2, 3, 4, 5, 6, 7]

 

a.extend([4,5])는 a += [4,5]와 동일하다.

 

+=는 계산한 값을 원래 값에 할당한다고 해서 할당 연산자라고 부른다.

즉, 1 += 1은 i = i + 1과 같다.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