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신용카드추천
- 마케팅
- 파이썬공부
- 파이썬프로그래밍
- 파킹통장
- 구글애널리틱스공부
- 파이썬정규표현식
- 구글ads
- GA설치
- GA공부
- 파이썬내장함수
- 연말정산
- 파킹통장추천
- GA가이드
- 페이스북광고
- 유튜브광고
- 구글애널리틱스4
- GA4
- GA
- 카페24
- 국민내일배움카드
- 메이크샵
- 파이썬함수
- 유튜브
- 구글애널리틱스강의
- 파이썬
- 구글애널리틱스가이드
- 파이썬문자열
- 구글애널리틱스
- 책추천
- Today
- Total
목록6.개발/파이썬 공부하기 (67)
정리왕
매개변수와 인수 매개변수(parameter)와 인수(arguments)는 혼용해서 사용되는 햇갈리는 용어이므로 잘 기억 해 두자. 매개변수는 함수에 입력으로 전달된 값을 받는 변수를 의미하고, 인수는 함수를 호출할 때 전달하는 입력값을 의미한다. def add(a,b): return a + b print(add(3,4)) def add(a,b)에서 a, b는 매개변수라고 부른다. print (add(3,4))에서 3, 4는 인수라고 부른다. 같은 의미를 가진 여러가지 용어들에 주의하자. 프로그래밍을 공부할 때 어려운 부분 중 하나가 용어의 혼용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는 공부하면서 원서를 보기도 하고 누군가의 번역본을 보기도 하면서 의미는 같지만 표현이 다른 용어를 자주 만나게 된다. 한 예로 입력값을 ..
파이썬 함수 1 함수를 설명하기 전에 믹서를 생각해 보자. 우리는 믹서에 과일을 넣는다. 그리고 믹서를 사용해서 과일을 갈아 과일 주스를 만든다. 우리가 믹서에 넣는 과일은 '입력'이 되고 과일 주스는 '출력(결과값)'이 된다. 그렇다면 믹서는 무엇인가? 믹서는 과일을 입력받아 주스를 출력하는 함수와 같다. 우리가 배우려는 함수가 바로 믹서와 비슷하다. 입력값을 가지고 어떤 일을 수행한 다음에 그 결과물을 내어놓는 것, 이것이 바로 함수가 하는 일이다. 우리는 어려서부터 함수에 대해 공부했지만 함수에 관해 깊이 생각해 본 적은 별로 없다. 예를 들어 y = 2x + 3 도 함수이다. 하지만 이를 수학 시간에 배운 직선 그래프로만 알고 있지 x에 어떤 값을 넣을 때 어떤 변화에 의해서 y값이 나오는지 그 ..
파이썬 반복문 for문2 (리스트 내포) 리스트 안에 for문을 포함하는 리스트 내포(List comprehension)을 사용하면 좀 더 편리하고 직관적인 for문을 만들 수 있다. 위 예는 우리가 보통 for문을 사용할 때 사용하는 문장 구조이다. 다만, 리스트 내포를 사용하면 다음과 같이 간단하게 단 3줄로 코딩할 수 있다. 만약 [1, 2, 3, 4] 중에서 짝수에만 3을 곱하여 담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리스트 내포 안에 if 조건을 사용할 수 있다. 리스트 내포를 사용하면 'if 조건문'을 for문과 함께 한 줄로 작성할 수 있다. [ 표현식 for 항목 in 반복 가능 객체 if 조건 조금 복잡하지만 for문을 2개 이상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for문을 여러 개 사용할 때의 문법은 다음과 ..
프로그래밍을 하는 이유는 반복작업을 편리하게 하기 위함이다. 파이썬의 직관적인 특징을 가장 잘 대변해 주는 것이 바로 이 for문이다. while문과 비슷한 반복문인 for문은 매우 유용하고 문장 구조가 한눈에 쏙 들어온다는 장점이 있다. for문을 잘 사용하면 프로그래밍이 즐거워질 것이다. 1. for문의 사용방법 for 변수 in 리스트 (또는 튜플, 문자열): 실행할 문장1 실행할 문장2 ... for문의 기본 구조는 for 명령어를 넣고, 변수를 정의하고, in 을 입력하고, 리스트 or 튜플 or 문자열의 입력하면 리스트 or 튜플 or 문자열의 첫 번째 요소부터 마지막 요소까지 차례로 변수에 대입된다. 그리고 for문 안에 있는 '수행할 문장1' , '수행할 문장2' 등이 실행된다. 2. 예제..
while문 강제로 빠져나가기 while문은 조건문이 참인 동안 계속해서 while문 안의 내용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하지만 강제로 while문을 빠져나가고 싶을 때가 있다. 예를 들어 커피 자판기를 생각해 보자. 자판기 안에 커피가 충분히 있을 때에는 동전을 넣으면 커피가 나온다. 그런데 자판기가 제대로 작동하려면 커피가 얼마나 남았는지 항상 검사해야 한다. 만약 커피가 떨어졌다면 판매를 중단하고 '판매 금지'문구를 사용자에게 보여주어야 한다. 이렇게 판매를 강제로 멈추게 하는 것이 바로 break문이다. 다음 예는 커피 자판기 이야기를 파이썬 프로그램으로 표현해 본 것이다. >>> coffee = 10 >>> money = 300 >>> while money: print("돈을 받았으니 커피를 줍니..
파이썬 while 문 기본 구조 반복해서 문장을 수행해야 할 경우 while문을 사용한다. 그래서 while문을 반복문이라고도 부른다. 다음은 while문의 기본 구조이다. while 조건문 : 수행할 문장1 수행할 문장2 수행할 문장3 .... while문은 조건문인 참인 동안에 while문 아래의 문장이 반복해서 수행된다. '열 번 찍어 안 넘어가는 나무 없다'는 속담을 파이썬 프로그램으로 만든다면 다음과 같이 될 것이다. >>> treeHit = 0 >>> while treeHit < 10 : treeHit = treeHit + 1 print("나무를 %d번 찍었습니다." % treeHit) if treeHit == 10: print("나무 넘어갑니다.") 나무를 1번 찍었습니다. 나무를 2번 찍었..
다양한 조건을 판단하는 elif if와 else만으로는 다양한 조건을 판단하기 어렵다. 다음 예를 보더라도 if와 else만으로는 조건을 판단하는 데 어려움이 겪게 된다. 주머니에 돈이 있으면 택시를 타고, 주머니에 돈은 없지만 카드가 있으면 택시를 타고, 돈도 없고 카드도 없으면 걸어 가라. 위 문장을 보면 조건을 판단하는 부분이 두 군데가 있다. 먼저 주머니에 돈이 있는지를 판단해야 하고 주머니에 돈이 없으면 다시 카드가 판단해야 한다. if와 else만으로 위 문장을 표현하려면 다음과 같이 할 수 있다. >>> pocket = ['paper', 'cellphone'] >>> card = True >>> if 'money' in pocket: print("택시를 타고 가라") else: if card..
조건문이란 무엇인가? if 조건문에서 '조건문'이란 참과 거짓을 판단하는 문장을 말한다. 앞에서 살펴본 택시 예제에서 조건문은 money가 된다. >>> money = True >>> if money: money는 True이기 때문에 조건이 참이 되어 if문 다음 문장을 수행한다. 비교 연산자 이번에는 조건문에 비교 연산자 ( , ==, !=, >=, y x가 y보다 크다 x == y x와 y가 같다 x != y x와 y가 같지 않다 x >= y x가 y보다 크거나 같다 x >> x = 3 >>> y = 2 >>> x > y True x에 3을, y에 2를 대입한 다음에 x > y라는 조건문을 수행하면 True를 돌려준다. x > y 조건문이 참이기 때문이다. >>> x < y False 위 조건문은 거..
1. if 문은 왜 필요할까? 엑셀에서도 if문을 통해 원하는 결과값을 출력한다. 파이썬도 조건문 if문을 통해 원하는 결과값을 출력할 수 있다. 2. if문의 기본 구조 다음은 if와 else를 사용한 조건문의 기본 구조이다. if 조건문: 수행할 문장1 수행할 문장2 else: 수행할 문장A 수행할 문장B 조건문을 테스트해서 참이면 if문 바로 다음 문장(if 블록) 들을 수행하고, 조건문이 거짓이면 else문 다음 문장(else 블록) 들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므로 else문은 if문 없이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없다. 3. 들여쓰기 if문을 만들 때는 if 조건문: 바로 아래 문장부터 if문에 속하는 모든 문장에 들여쓰기(indentation)를 해주어야 한다. 오른쪽에서 보는 것과 같이 조건문이 ..
자료형의 값을 저장하는 공간, 변수 지금까지 설명할 내용은 프로그래밍 초보자가 얼른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므로 당장 이해가 되지 않는다면 그냥 건너뛰어도 된다. 파이썬에 대해서 공부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알게 될 것이다. 우리는 앞에서 이미 변수를 사용해 왔다. 다음 예와 같은 a, b, c를 변수라고 한다. >>> a = 1 >>> b = "python" >>> c = [1, 2, 3] 변수를 만들 때는 위 예처럼 = (assignment) 기호를 사용한다. 변수 이름 = 변수에 저장할 값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인 C나 JAVA에서는 변수를 만들 때 자료형을 직접 지정해야 한다. 하지만 파이썬은 변수에 저장된 값을 스스로 판단하여 자료형을 지정하기 때문에 더 편리하다. 변수란? 파이썬에서 사용하는 변수는 ..